퇴직소득세 계산법과 연금소득세 절세전략 정보입니다.
퇴직이 가까워지면 가장 먼저 드는 고민은 바로
“퇴직금에서 세금 얼마나 떼지?”라는 질문입니다.
더불어 IRP나 연금저축을 통해 받는 연금 수령 시 세금 문제도 간과할 수 없죠.
2025년은 세법 변화가 예정되어 있어서
퇴직소득세와 연금소득세 모두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유리한 해입니다.
퇴직소득세란 무엇인가요?
퇴직소득세는 말 그대로 퇴직금을 받을 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.
일반 근로소득과는 다르게 분리 과세되며, 누진세율이 적용되지만 감면 혜택도 많습니다.
퇴직소득은 다음 요소로 계산됩니다:
- 퇴직소득금액 = 퇴직금 총액 – 비과세 퇴직소득 (있다면)
- 근속연수, 평균임금, 그리고 공제 항목이 세율에 영향을 줍니다.
✅ 핵심 포인트는,
퇴직소득세는 퇴직금을 한 번에 받을 때만 적용된다는 점!
IRP로 넘기면 ‘이연’할 수 있어요.
퇴직소득세 계산법 (2025 기준 예시 포함)
퇴직소득세는 단순히 “몇 퍼센트 곱하면 끝!”이 아닙니다.
여러 단계를 거쳐 계산됩니다.
✅ 기본 계산 절차
- 총퇴직급여액 확인
- 근속연수 계산
- 퇴직소득공제 적용
- 과세표준 산정
- 누진세율 적용
- 산출세액 결정
✅ 예시: 퇴직금 3억 원, 근속연수 20년
- 총퇴직급여: 300,000,000원
- 퇴직소득공제: 약 124,000,000원
- 과세표준: 약 176,000,000원
- 누진세율 적용 후 산출세액: 약 17,000,000원
💡 이 세금은 퇴직 시점에 한 번만 부과되며,
IRP로 이체하면 과세 이연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.
IRP로 이체하면 세금이 줄어드나요?
정답은 YES입니다.
퇴직소득세는 IRP로 이체하면 당장 내지 않고, 연금 수령 시점으로 이연됩니다.
그리고 나눠서 받을 경우 일정 비율 감면까지 가능합니다.
연금 수령 기간 | 퇴직소득세 감면율 |
---|---|
10년 이하 | 30% 감면 |
11년 이상 | 40% 감면 |
20년 이상 (2025 신설) | 50% 감면 ✅ |
즉, 퇴직금을 IRP에 넣고 20년 이상 연금처럼 받으면
퇴직소득세의 절반만 내면 된다는 의미입니다!
연금소득세는 언제, 얼마나 나올까?
IRP나 연금저축을 통해 연금을 수령하면
연금소득세가 원천징수됩니다.
수령 나이 | 세율 (2025년 기준) |
---|---|
55~64세 | 5.5% |
65~69세 | 4.4% |
70세 이상 | 3.3% |
✅ 단순히 수령 시점을 70세로 늦추기만 해도
연금소득세가 거의 2%포인트 이상 절세됩니다!
또한, 연간 연금 수령액이 1,200만 원 이하라면
다른 소득과 합산 과세되지 않기 때문에 종합소득세를 피할 수 있어요.
퇴직소득세 vs 연금소득세 전략 비교
항목 | 퇴직소득세 | 연금소득세 |
---|---|---|
과세 시점 | 퇴직 시 일시금 수령 시점 | 연금 수령 시 |
절세 방법 | IRP 이체 후 장기 분할 수령 | 수령 개시 나이 조정, 1,200만 원 이하 유지 |
감면 제도 | 최대 50% 감면 (2025년부터) | 낮은 세율 (최대 3.3%) 적용 가능 |
과세 방식 | 분리 과세 | 분리 과세, 일정금액 이상 시 종합합산 |
2025년 퇴직/연금소득세 절세전략 요약
1. 퇴직금은 바로 받지 말고 IRP로 이체하기
→ 퇴직소득세 과세를 유예할 수 있고, 향후 연금 분할 수령 시 감면 혜택
2. 20년 이상 나눠 받기 (IRP)
→ 2025년부터 적용되는 50% 감면 혜택 적극 활용
3. 연금 수령 시기는 65세 이후로
→ 70세부터 수령하면 세율이 3.3%로 가장 낮음
4. 연간 수령액은 1,200만 원 이하로 조절
→ 종합소득세 대상 피하고, 건강보험 피부양 자격 유지 가능
5. 초기 수령 구간은 안정적인 자산 배분으로 리스크 관리
→ 수익보다 안정성 중심으로 조정할 시기
🧮 IRP 연금 수령 계산기
전문가가 추천하는 수령 시뮬레이션
조건 | 시나리오 A | 시나리오 B |
---|---|---|
퇴직금 | 3억 원 | 3억 원 |
수령 방식 | 일시금 전액 | 연간 1,000만 원 30년 분할 |
세금 | 1,700만 원 | 연간 약 30만 원 × 30년 = 900만 원 (50% 감면 적용 시) |
→ 단순히 수령 시기만 다르게 해도 세금이 절반으로 줄어듭니다.
결론
2025년은 퇴직금 수령 전략을 완전히 바꿀 수 있는 해입니다.
세법 개정으로 퇴직소득세와 연금소득세 절세 여지가 커졌기 때문이죠.
IRP나 연금저축을 활용해
언제, 얼마씩, 어떻게 수령할 것인지 미리 설계해두는 것이 필수입니다.